반응형 WSL24 windows wsl mariadb 설치하기 (wsl2 ubuntu-22.04 활용) 어떤 서비스를 테스트하려면 데이터가 필요하고, db의 존재는 필수적입니다 이번에는 windows wsl mariadb를 리눅스 환경에 설치해 보고,테이블을 만들었던 과정에 대해서 정리해보려 한다진행과정1. wsl 접속2. mariadb-server 설치 3.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을 위한 mariaddb version 확인 4. 보안 설정(mysql_secure_installation) 5. mariadb 접속 및 SQL 수행 6. 계정생성 7. 데이터베이스 생성 8. 테이블 생성 9. 샘플 데이터 생성 10. 데이터 확인 및 데이터 사용 1. wsl에 접속case1) powershell을 통해서 명령어 wsl 입력 후 접속case2) windows 검색에 ubuntu검색하여 설치된 ubuntu.. 2025. 2. 18. windows wsl docker 설치하기 (wsl2 ubuntu-22.04 활용) windows에 wsl2를 활용하여 리눅스 환경을 구축하였으므로,windows 도커데스크톱이 아닌 리눅스(wsl2 ubuntu-22.04에 docker 설치 정리해보려 한다 windows에 wsl2 설치하기는 아래의 글 참조 windows wsl 설치하여 linux 환경 세팅 하기 (wsl2 기준)WSL란? Windows Subsystem for Windows 약자로 WSL1, WSL2 가 있으며 별도의 가상 머신 또는 이중 부팅 없이 Windows 컴퓨터에서 Linux 환경을 실행할 수 있는 Windows의 기능 여기서의 설치 및 환경 설명은 WSL2 기vanilaeconomy.tistory.com 진행과정 1. 패키지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2. 서드파티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위한 준비 작업 3. 도.. 2025. 2. 18. windows wsl 설치하여 linux 환경 세팅 하기 (wsl2 기준) WSL란? Windows Subsystem for Windows 약자로 WSL1, WSL2 가 있으며 별도의 가상 머신 또는 이중 부팅 없이 Windows 컴퓨터에서 Linux 환경을 실행할 수 있는 Windows의 기능 여기서의 설치 및 환경 설명은 WSL2 기준!! 1. WSL1과 WSL2의 차이점 WSL 1과 WSL 2의 주요 차이점은 관리되는 VM 내에서 실제 Linux 커널 사용, 전체 시스템 호출 호환성 지원, Linux 및 Windows 운영 체제 전반의 성능입니다 → 요약하면 WSL2가 리눅스 커널 환경을 사용하고, 호환성에 있어서도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면 WSL2에서만 도커를 실행할 수 있는 점이다이유는 WSL1 같은 경우는 겉모습은 리눅스의 모습을 띄고 있지만,사실은 리눅스.. 2025. 2. 13. Linux 크론탭(crontab)의 정의와 크론탭(crontab) 사용방법 정리 크론(cron)과 크론탭(crontab)이란?크론(cron)은 Unix계열 운영체제(Linux, macOS 등)에서 특정 시간에 반복적으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도와주는 데몬(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이라 할 수 있습니다 크론탭(crontab)은 크론(cron) 데몬이 참고하는 설정 파일이다사용자가 리눅스 환경에서 특정 시간에 반복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작업을 예약하고, 주기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백업, 로그 정리, 시스템 모니터링 스크립트 등을 설정할 때 유용하다 정리하면cron : 예약된 작업을 실행하는 데몬(서비스)crontab : cron이 참조하는 설정 파일cron job : crontab에 등록된 개별 작업(명령어) 1. 크론탭(crontab) 기본 형식* * * * * 명령어│ │ │ .. 2025. 2. 12. 이전 1 다음 반응형